워런버핏의 대박투자 철학

2021. 11. 4. 19:32카테고리 없음

반응형

워런버핏의 스승

워런버핏에게는 압도적인 성과와
이 시대의 최고의 투자자라는
명성을 얻게 해준 2명의 스승이 있었다.
이 두 스승에 의해 워런 버핏의
투자는 진화해 왔고 계속해서 발전했다.

벤자민 그레이엄

콜롬비아 대학의 비즈니스 스쿨 교수이자
가치투자자의 창시자인 벤자민 그레이엄이 있다
워런버핏은 대학을 졸업할 무렵
벤자민 그레이엄의 현명한 투자자라는
책을 읽게 되고, 영감을 받아 콜롬비아 대학의
비지니스 스쿨에 입학해 당시 증권분석을
강의하던 벤자민 그레이엄에게 가르침을 받게 된다.

버핏은 그레엄 밑에서 석사 학위를 받고
그의 회사에 취직하게 된다

버핏은 1956년 고향인 네브래스카주 오마하로 돌아와
투자조합을 만들어 본격적인 투자를 시작하게 된다.

벤저민 그레이엄식 투자방법 3가지

1.주식을 기업의 소유권으로 정의한다.
2.안전마진을 가지고 투자한다
3.미스터 마켓을 이용한다.

이 시기의 투자는 담배꽁초 투자법으로 불린다.
이 투자법은 바닥에 떨어진 담배꽁초를 주워
한 모금만 피우고 버리듯이
계산된 기업가치 대비 현저하게 낮은 기업의
주식을 매수해 적정가치에 도달하면 매도하는
투자방식을 안전마진을 가지고 투자한다라고
정의했다.

주식을 투기의 대상으로 보지 않고
기업의 소유권으로 정의했다.

주식 시장을 미스터 마켓으로 의인화해
시장이 폭락할 때 겁먹지 말고
미스터 마켓에게서 매수하고
시장이 이상급등할 땐 욕심을 버리고
미스터 마켓에게 매도하기로 한다

워런버핏의 투자조합은 그레이엄의 투자법에 집중해
1956-1969년 까지 13년간 년평균 29.5%의
수익률을 기록했고,
같은 기간 다우지수의 수익률은 연평균 7.4%였다.
이렇게 워런 버핏의 첫번째 황금기를 맞았다.


윌리엄 그레이엄+필립피셔 합체

1965년에 인수한 버크셔 해서웨이라는 섬유회사를
투자지주 회사로 변경해 자산을 운용하게 된다.

왜 그는 잘나가던 투자조합을 청산하고
새로운 투자법을 시도했을까?
이는 이전 투자방식에 한계를 느꼈기 때문이다.

벤저민 그레이엄의 투자방식은
저평가된 기업의 주식을 매수해
적정가격에 도달할 때 매도하는 방식이다.
투자자금 규모가 커지고,
초창기때처럼 투자하기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장기투자할만한 우량기업은 저평가 되는 경우가 드물었고,
저평가 되는 작은 기업은 부족한 유동성 때문에
조금만 매수해도 급등하는 일이 벌어졌다.

1960년에는 미국 주식시장의 호황으로
담배꽁초 주식 방식은 의미가 없어졌다.

워렌버핏


필립피셔 투자법
:위대한 기업에 투자하라

우향한 소수의 기업을 매수하라
“그저그런 기업을 헐값에 사는 것 보다
훌륭한 기업을 적정한 가격에 사는 것이 좋다”

해자를 가춘 기업을 선호한다
해자란 :moat
해자란 성곽을 둘러싸고 있는 연못이라는 뜻인데
성을 공격하는 적들에게
해자 그 자체적으로 성을 방어할 수 있다는
큰 장점을 가지고 있다.

투자에 적용한다면
기업의 브랜드 파워,독점력,진입장벽,
꾸준한 현금창출 능력을 해자로 은유해 볼 수 있다.

워런버핏은 벤저민 그레이엄에게는 가치투자를
필립피셔에게는 성장 투자에 대한 가르침을 받아
완성형 투자자가 되었다.

워런버핏의 완성형 투자 3가지 특징

1.이해하기 쉬운 사업구조
2.독점적 지위와 브랜드 파워
3.초우량기업에 집중투자

이런 기업으로 코카콜라,나이키,질레트,맥도널드,월트디즈니…
모두 들어 본 이름들입니다.

기업의 비즈니스가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쉬운
기업의 주식은 앤서니해서웨이의 리스트에 담겨 있다.

워랜버핏의 애플투자

버핏이 애플에 투자한 것은
애플을 iT기업으로 분류하지 않았다.
그는 기업브랜드에 충성도에 따라
소비하거나 구매하거나,
공유하는 소비재로서의 기업으로 평가했다.

자신의 철학을 고수하면서도
시대와 시기에 맞는 유연성을 발휘하며
한 단계 발전하는 투자를 보여주고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