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메이너드 케인스의 완벽한 승리

2021. 11. 6. 23:39카테고리 없음

반응형


뉴욕타이스, 이코노미스트 선정 올해의 책
재커리 D.카터[존 메이너드 케인즈]

John Maynard Keynes

:1883-1946
경제학자

영국의 귀족 집에서 태어난 존 캐인즈는
이튼을 거쳐 케임브리지의 킹스 칼리지에서 수학하고,
졸업 후 인도성에 근하다가 대학에 돌아온다
20년간 마셜의 후계자로 피구와 함께
케임브리지 학파의 두 산맥이 된다.

그는 이코노믹 저널에 편집자로 일하면서
이 잡지가 세계적인 권위를 인정받는데도 큰
공헌을 하게 된다.

1929년 10월 24일
뉴욕 증권시장의 주식 가격이 폭락하며
세계대공항의 서막을 올린다.
이른바 검은 목요일은 거의 모든 자본주의 국가들을
경기 침체와 대량 실업의 혼락 속으로 빠트린다.

왜 대공항이 왔는지에 대한 원인 분석과
회생방안에 대한 해결책 앞에 속수무책이였다.

이 와중에 케인스는 1936년에
고용-이자-화폐의 일반이론을 출간하면서
유효수요이론을 주장한다.

소비와 투자로 이루어지는 유효수요의 크기에 따라
경제활동의 수준이 정해진다고 주장한다.

캐인즈가 내 놓은 대공항의 처방은
정부의 과감한 개입으로 유효수요를 늘리자는 것이었다.


존 메이너드 케인즈


유효수요이론
재무부가 낡은병에 은행권을 가득채워
펴탄광에 적당한 깊이로 묻은 뒤
도시의 쓰레기를 표면에 이르기까지 덮어라
그 뒤에 입차을 통해 민간 기업에게
그 은행권을 다시 파내는 일을 맡긴다면
더 이상 실업이 존재해야 할 이유가 없다.

경제는 순환하므로 처음 지출이 돌고 돌면
경제 전체에 미치는 효과는
그 몇배가 된다는 승수이론도 함께 주장한다.

경제가 나빠졌을 때 임금을 줄이는 것은
최악의 정책이라고 주장했다.
수요를 늘려야 하는데 임금을 줄이면
역효과가 나타나기 때문이다.

당시 고전경제학파는 세이의 법칙을 믿고 있어
경제는 항상 완전고용상태라고 생각했다.

캐인즈는 이와 달리 완전 고용도
정책으로 실현시켜야 한다고 설명했다.
케인스는 수학적 기대치가 아닌
인간의 심리적 요인이야말로
경제를 움직이는 원동력이라고 주장한다.

야성적충동은 자본주의의 내재된
불안정성을 설명하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한다.

주식투자는 백장의 미인 얼굴을 제시하고,
시합의 참여자들에게 얼굴이 예쁜 순서로
6장씩 골라내게 한 다믐
참여자 전체의 평균적인 선호에 가장 부합하는
선택을 한 참여자에게 상금을 주는 것과 같다고
비유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이 때 각 참여자는 게임에 이기기 위해서
자신이 가장 아름답다고 생각하는 참여자를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참여자들의 취향에 가장 알맞는
참가자를 선택해야 한다.
평균적 견해야 대한 평균적 견해가
투표는 이루어 질 것이라고 말했다.

거시경제와 미시경제


미시경제학이 개별경제 주체의 행위를 연구한다면,
거시경제학은 경제주체들의 상호작용의 결과로
나타나는 한 나라의 경제전체 현상에 대해 분석한다.
<고용,인플레이션,이자율,,,>

케인즈의 이론은 프랭클린 루스벨트 대통령이
주도한 뉴 딜정책의 이론적 기반이 되기도 했다.
케인즈로 인해 세계는 수정자본주의라는
새로운 자본주의 시대가 향후 30년간 지속된다.

케인즈의 책은 국부론,자본론과 더불어
경제학 3대 바이블로 꼽힌다.

출처:만화로 보는 멘큐의 경제학



타임즈에 실린 존 메니어드 케인즈의 부고내용

애덤 스미스 이래 가장 위대한 경제학자라고 표현했다.
하자만 이런한 극적 찬양도 스미스에 비견할 케인스나
프톨레마이오스의 비견할 코페르니쿠스처럼
하나의 패러다임을 다른 패러다임으로
바꾼 표현일 뿐 케인스 같은 사상가를 설명하기에는 부족했다.

코페르니쿠스는 우주의 올바른 원리를 바로잡은 위인이다.
케인즈는 원리만 올라바르게 잡은 것 뿐만 아니라
자신의 경제학 연구에 심리학 역사학 정치이론을 융합했고,
경제학 분야에서 전무후무한 방식으로 방식으로 금용 상황을 주시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