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그문트 프로이트, 오이디푸스 컴플렉스란 무엇일까?

2022. 1. 10. 21:22카테고리 없음

반응형

지그문트 프로티트
:Freud, Sigmund
1856-1939
체코 출생,생리학자,정신병리학자

지그문트 프로이트


프로이트의 저서
[성욕에 관한 세 편의 에세이]의
내용에 대해 알아보겠다

유아에게도 이미 성적 본능이 존재하며
그들 나름대로 성적 활동이 일어나고 있다는 것을
최초로 설명했던 사람입니다.

[유아기의 성적 활동]
:리비도 5가지 발전단계로 설명하고 있다.
구강기,항문기,남근기,잠복기,생식기
이렇게 구분하여 성적활동을 설명하는
내용이 담겨 있는
[성욕에 관한 세 편의 에세이]
대한 이야기를 들어보자







신경증의 예방과 치유를 위한 탐구


우리는 왜 이런 어린시절의 성욕에 대해
다시 탐구해야 하는 것을까?
프로이트는 어린 시절부터 시작되는 성적 활동과
성인이 격는 신경 활도은 어린 시절의 성적 활동과
깊은 연관성이 있음으로
이 시절에 우리가 어떤 과정을 격었는지 아는것은
건강한 부부생활과 신경증에 대한 진단과
해결 방법을 찾을 수 있는 첫 단추일 수 있다.

리비도란?

어린 유아에게도 성욕이 있다고 한다면
우리는 불편하게 받아 들일 것이다.
하지만 그런 반응은 도덕의 결과로
성욕이란 부정한 것이라는 편견에 기초한 것이다
성욕 즉 리비도는 넓은 의미에서
우리의 삶을 이끌어 가는 하나의 드리이브
즉, 생명력으로 해석해 볼 수 있다.

우리가 문명의 삶에서 누리는 모든 삶의 에너지는
리비드를 문명에 유리하게 바꾸어 사용하는 것이다
성적 욕구가 약하다면,
위대한 문명적 활동에 기여할 수 없다는 것이
프로이트의 설명이다.
문명사회에서 위대한 업적을 이룬 사람들은
리비도를 전용한 승화라고 할 수 있다.

유아기의 성적 활동

:6세 이전의 시기
구강기/항문기/남근기
전 생식기적 단계라고 말한다.

구강단계

:Die orale Phase
탄생-18개월
유아기가 갖는 최초의 성적 표출은 빨기에 있다.

엄마의 젖가슴,엄지 손가락,공갈 젖꼭지
장난감등을 빨며 성적 쾌락을 느낀다.
아이는 빠는 활동을 하며
입술이나 입은 대상물과 부드럽게 접촉하면서
성적 쾌감을 느낀다고 설명한다.
엄마의 젖을 먹고 얼굴이 붉어져
잠든 아이를 보라고 하면서
아기가 볼이 상기된 것은 거기서 오는
쾌감에 매려되었다고 해석한다.
그러한 의미에서 영아기의 빨기는
일종의 입을 통한 수음행위라고 설명하며
자기 성애라고 말하기도 한다.

최초의 아이는 어머니의 젖가슴을 빨지면
어머니와 아이의 관계는
뱃속에 아이가 있었을 때처럼
따로 분리되지 않은 밀착된 관계로
아이는 어머니와 분리된 대상으로 인식하지 않는다

어머니가 아이로부터 분리될 때
아이도 어머니가 자신이 아니라고 인식하게 될 때
빨기의 대상은 자신의 신체로 옮겨 간다고 한다.
하지만 자신의 신체는 어머니로 부터
얻었던 쾌락보다는 만족이 떨어짐으로
성인이 되어 타인의 피부나 남여간의 생식으로
이동한다는 논리이다.

프로티이트는 구강기의 쾌락이 억압되면
그러한 아이는 성인이 되어
식사장애,히스테리성 목구멍 덩어리 느낌
목조임,히스테리성 구토증 같은
신경증이 나타난다고 한다.

입에는 먹기-섭취기능
빨기-쾌락기능이 있다.
빨기라는 기능을 억압하면 성적 기능과
섭취기능이 마비기능이 일어 난다는 해석이다.

항문단계

:Die anale Phase
18-3세

항문에는 배설 기능과 쾌락 기능이 함께 있다.
어린 아이는 배설물을 참았다가
충분한 압력을 가졌을 때 배설하려고 한다.
그러한 압력이 자신의 쾌락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어떤 아이는 쾌락을 누리기에 적절한 때가 아니라고 판단하면, 유모가 아무리 변기에 앉혀도
배변을 완강히 거부한다.
그는 배변에서 오는 쾌락을 그렇게 대충 잃고
싶어 하지 않는다.
항문의 성애적 자극을 추구하는 아이는
의자를 뒤로 밀어 그 압력으로
항문을 자극하는 행동을 한다”


이 시기의 아이에게 지나치게 엄격한
배변 훈련을 시키면 대소변은 더러운 것이라는
반동을 형성해서 성인이 되어서 지나치게 깔끔하거나
지나치게 규율을 순수하는 완벽주의 또는
결벽주의가 나타나고 반면 배변 혼련을 느슨하게 하면
정리 정돈이 되지 않는 지저분한 성격이
형성된다고 말하고 있다.

남근단계

:Die Phallische Phase
4세-5세

남근단계에서는 소변이 흘러 나올 때
성적 충동을 느끼며
목욕을 할때 부드러운 간지러움으로
성적 쾌락을 즐긴다고 한다.
이 때 아이들은 자신의 성기를 자주 만지며
이를 유아의 성기수음이라고 한다.
성적 호기심이 왕상한 때이다.
특히 남자아이들은 동물들의 생식기의 생김과
물건들은 왜 남자의 생식기가 없는지
여자는 왜 남근이 없는지,
아기는 어디서 태어났는지에 대한
궁금증이 일어나는 시기이다.


잠복기

:

6-11
유아기의 성생활은 중단된다.
이 시기에 서생활이 억압되는 이유는
문화적 이유와 심리적 이유가 있다.

문화적 이유
:성본능을 문화적으로 승화시키는
학교 교육에 있다고 한다.
사회는 성적 충동을 억제하고
제한하는 법을 가르친다.
만일 성충동이 계속 발달하는데
스스로 통제하지 않는다면
문명은 유지되지 못 할 것이다.
사회화라는 명목으로 자신의 자신의 육체에 대한
관심으로부터 학습과 교육에 대한 관심으로
리비도를 전이 시키는 것이다.
성본능의 에너지를 학습이나 노동으로 승화시키는 것이다.

심리적 이유
:오이디푸스 컴플렉스
유아의 세계는 가정이며
최초로 성적인 경쟁이 이루어지는 영역이다.
아들은 어머니를 두고 아버지와
딸은 아버지를 두고 어머니와 성적 경쟁을 벌인다는
것이 프로이트의 설명이다.

아들은 어머니를 쟁취하기 위해서
아버지가 사라지길 원하거나
아버지를 질투하고 증오하며
없애버리고 싶은 충동이 있다고 한다.
마치 그리스신화의 오이디푸스의 부친 살해와
어머니와의 결혼으로 설명된다고 하며
아들의 성적 경쟁을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라고 부른다.



아들은 자신이 아버지를 죽이고자 하는
마음이 있는 것처럼
아버지도 그럴 것이라는 생각에
거세공포증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경쟁자로서 아버지에 대한 두려움과 부러움이라는
이중적 감정을 경험하게 된다.
아들은 거세공포로 인해 아버지와의 경쟁을 포기하고
자신이 선망하는 아버지처럼 되고 싶어 하게 된다고
말하고 있다.

여기까지는 유아기의 성적 활동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