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10. 20. 00:14ㆍ카테고리 없음
서프랑크 왕국과 신성로마제국
서프랑크 왕국의 후손인 프랑스는
강력한 중앙집권적 국가로 발전하는 반면
독일의 선조인 동프랑크는 지방 호족의 힘이 강해 왕권이 약했다
동프랑크는 제후들의 선거를 통해 왕을 뽑았고
고대 로마제국의 계승을 자처해 왕으로 뽑히면
신성로마제국의 황제를 겸하여 역임했다.
신성로마제국이란 중부유럽에 위치한
느슨한 연방체라고 생각하면 되겠다.
15세기부터 신성로마제국의 수많은 공국중에
오스트리아를 기반으로한 합스부르크 가문이
신성로마 제국 황제 자리를 독차지하며
급속도로 성장하게 된다.
로마 교황청-면죄부 사세요
로마 교황청은 성 베드로 성당 건축으로
자금이 필요하자 재물을 바친 자는
천국에 간다는 변질된 교리를 이용해
면죄부 판매권을 각 나라에 허락하고
판매금의 일부를 요구한다.
종교개혁
1517년 마틴루터를 시작으로
스위스 츠빙글리 프랑스의 칼뱅이
종교개혁을 일으키며 부패했던 로마교항청에
반기를 들게 된다.
당시 독일(동프랑크)는 작은 나라로 나뉘어져 있어지만
로마 교황은 많은 기부금을 요구하자
반발이 더 크게 일어나게 되었다.
카톨릭의 분열과 갈등은
교황 지배에 반발하던 제후와 지식인들과
지지하는 세력으로 나눠어 싸우게 된다.
신성로마제국 황제 카를 5세와
프로테스텐트 제후간에
아우크스부르크 화의를 맺게 된다.
아우크스부르크 화의
1555년 개신교 진영과 카톨릭 진영이
아우크스부르크 화의에 합의하면서
종교적인 갈등이 조용해 졌다.
즉 신교와 구교의 임시평화조약으로
전쟁의 불씨를 안고 있는 화의였다.
이를 통해 타 종교에 대해 이해하며
각지역의 영주들은 자신들의 지역에서
믿을 종교의 자유가 인정되었고,
자신이 속한 지역의 종교가 맞지 않으면
이주할 수 있는 권리가 주어졌다.
영주들은 자신들이 믿는 종교가
뿌리를 내리게 하기 위한 정책을 펴며
다른 개신교 교리가 퍼지는 것을 막기 위해
관료제 중앙집권화가 시작한다.
그로부터~
1618년-1648년 30년 전쟁
루톨프 2세
시간이 흘러 아우크스부르크 화의에 대한
의구심을 가진 사람들이 있었다.
신성로마제국의 황제 루돌프 2세는
1577년 빈에서 개신교 예배를 금지하고
개신교 학교와 예배를 폐지하는 일을 한다
개신교 영주들을 배지하자 자신들의
익권을 보호하기 개신교 영주들은
1608년 신성로마제국 내에서
프로테스탄테 유니온을 결성한다.
카톨릭 진영과 맞서기 위해 강한 군사력을 보유한
프랑스와도 동맹을 맺게 된다.
프랑스측에서도 함스부르크가를
견제하기 위한 좋은 기회였다.
이렇게 카톨릭과 개신교는 노골적인 갈등이 시작되었다.
17세기 세계대전 배경
카톨릭 절대 신봉자인 페르디난트 2세가
신성로마제국의 황제가 되면서
개신교 탄압이 도화선이 되어 30년 전쟁이 시작된다.
에스파냐 프랑스 잉글랜드 스웨덴 네덜란드등
전쟁에 뛰어든다.
화난다 창문으로 던져버려!
보헤미아 왕국 프라하
황제 마티아스와 그의 4촌인
페르디난트 2세는 개신교 교회 폐쇄하고,
예배 금지시키고 모임도 허락하지 않자
이를 항의하는 보헤미안 왕국 의회도 해체해 버린다.
이에 분노한 이 지역 귀족들은
보헤미안 왕국으로 찾아온다
이들은 항의하는 과정에서
황제의 대리인 2명과 과리인을 창 밖으로 던져린다.
황제의 대리인을 던진것은 도전적인 행동이였다.
이 사건 이후 프라하의 귀족들은
황제와의 전쟁을 준비한다.
또한 개신교 동맹의 수장을 페르디난트 2세 대신
프리드리히 5세를 왕위에 올린다.
베스트팔렌조약
1648년 베스트팔렌 조약
신성로마제국 황제는 베스트팔렌 조약을 통해
독일 연방 제후국들의 종교의 자유와
주권 독립을 인정해주게 된다.
이 조약으로 종교의 자유를 인정받게 되며
로마카톨릭과 프로테스탄트 신교로
종파로 2개로 나누어지게 된다.
카톨릭
:에스파냐,오스트리아,포르투칼
프로테스탄트
:프랑스,영국,스웨덴,네덜란드
전쟁의 결과는 개신교의 승리로 끝난다.
승리한 프랑스는 알자스 로렌을
스위스는 오스트리아로 부터 독립
네덜란드는 에스파냐로 부터 독립을 얻게 된다.
독일의 전신 프로이센 등장
작은 나라들로 나누어졌던 동프랑크는
1525년 신흥국가 프로이센이 공국이
작은 나라들을 정복합병하며 영토를 넓혀간다.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는 군인 왕으로
명성과 함께 악명을 떨치게 된다.
의무감 충성심 규율 질서 근면을
최고의 가치로 가지고 있었다.
이를 기반으로 짧은 시간에 유럽 열강에 들어서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