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9. 5. 13:41ㆍ핫트렉
미군 철수로 인한 탈레반이 카불 점령 후 파키스탄, 러시아, 중국, 이란, 이슬람 집단 서방국가들은 자국의 이득을 위해 어떤 외교 패러다임을 제시하는지 알아보려고 한다.
18세기 영국으로부터 독립한 파키스탄과 인도는 탈라반 카불 점령후 각 나라의 득과 실에 대해 어떤 입장일까?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은 2400km에 달하는 국경을 고유하고 있는 이웃 나라이다. 파키스탄에 체류하고 있는 아프간 난민은 140명에 달한다.
1990년 파슈토어로 ‘학생’이라는 뜻의 탈레반이 결성될 초기 파키스탄에 근거지를 두고 있었으며 아프가니스탄이 불안정하면 가장 많은 영향을 받을 나라이기도하다
파키스탄과 인도의 관계
인도와 파키스탄은 원래 한 나라였으나 18세기 영국의 식민지로 전락한 뒤 힌두교 세력과 이슬람교 세력이 각기 분열된 독립운동을 버렸고,
1947년 인도가 영국으로부터 독립하였던 시기에 이슬람교도가 많은 카슈미르 지역이 인도령으로 속하게 되면서, 이 지역의 힌두교도와 이슬람교도 사이에 발생하기 시작한 갈등을 의미한다. 결국 1948년, 1965년, 1971년 세 차례 전면전이 벌어졌고 세 번째 전쟁에서는 동파키스탄이 방글라데시로 독립하게 된다.
분리독립 시 종족 구성상 파키스탄에 가까웠던 이 지역의 힌두 지도자가 인도에 통치권을 넘김으로써 1948년 제1차 인도-파키스탄 전쟁 발생했다.
1948년 8월 유엔은 양측 간 휴전을 중재하였고, 파키스탄은 자국 점령 카슈미르가 독립정부임을 주장하였고, 인도는 1963년 자국 점령 카슈미르 지역을 자국의 1개 주로 편입하게 된다. 1949년 휴전으로 서부 아자드 카슈미르는 파키스탄영으로, 나머지 잠무 카슈미르는 인도령으로 분할되고 유엔의 간섭에도 불구하고 영토 다툼은 계속되고 있다.
1962년 중국은 카숴르의 동쪽을 침공하여 인도와의 전쟁을 통해 아커사이친 지역을 중국의 영토로 편입했고, 중국에 패한 인도는 1914년 영국이 그은 맥마흔 라인(McMahon Line)을 국경선으로 주장하고, 중국은 영국의 인도 통치 이전의 국경선의 회복을 주장하게 되어 현재까지 분쟁은 계속되고 있다.
악사이친 또는 아크사이친
:이 지역은 티베트 고원 북서쪽 쿤룬 산맥의 서쪽 아래에 있다.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카슈가르 지구에 있는 예청 현으로 편입시켜 행정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카슈미르 지역과 종교 갈등
카슈미르는 히말라야 산맥의 서쪽 끝 부분의 남쪽에 있는 계곡을 말하며,
잠무 카슈미르는 인도령,
아자드 카슈미르와 길기트발티스탄은
파키스탄령
아크사이친은 중국령이다.
이 지역이 1947년에 영국으로부터 독립을 하면서 인도, 파키스탄, 스리랑카 등으로 분리되는 과정에서 카슈미르는 인도에 귀속됨으로 인해 분쟁이 발생하게 되었다.
카슈미르는 이슬람교도가 많으며 힌두교도와 종교적인 원인으로 인해 이슬람교도는 파키스에, 힌두교도는 인도에 귀속되기를 희망하는 분쟁 지역이다.
카슈미르 위치
인도 북부와 파키스탄 북부,
중국 남서부 지역과 접경
면적 22만여㎢의 산악지대
인구 2,000여 만명
-인도령 1,400여 만 명
파키스탄령 600여 만명) 거주
종교 이슬람교도 60%
특징 인도, 파키스탄, 중국과 국경을 맞대고 있는 전략적 요충지로 이 세 나라에 의해 분할 통치되고 있다.

파키스탄은 탈레반 지원에 대해 부인해왔지만, 1990년대 탈레반이 아프간에서 정권을 잡았을 때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레이트 UAE)와 함께 이들을 인정한 단 3개국 가운데 하나였다.
‘인도와의 대립’이라는 프레임을 놓고 본다면 탈레반의 점령은 인도의 영향력이 줄어든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핫트렉'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중공업 공모주 난리났네 난리났어, 공모주 배워보기 (0) | 2021.09.08 |
---|---|
초음파 가습기의 불편을 완벽 해결한 퀸레이블 가습기 (0) | 2021.09.07 |
잠실 롯데월드몰 전시회,마스코트 (3) | 2021.09.04 |
1타 강사 예지력, 수능 8년 안에 붕괴 (2) | 2021.09.04 |
공동부유,시진핑이 말하는 다 같이 잘 살자! (4) | 2021.09.02 |